건망증과 치매 구분하는 법은? 노화로 인한 현상인 건망증은 전두엽의 기능이 떨어지고 생활이 바빠 잊고 지낸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기억장애로 질병이 아니다. 하지만, 치매는 측두엽이 망가져서 나타나는 질병으로 인지능력 저하까지 동반한다. 치매와 건망증의 차이는 무엇일까 ? 만약 어떤 일에 대한 얘기를 꺼냈을 때 상대방이 기억하지 못 할 경우 우리가 힌트를 건내본다. '너는 그때 파란색 패딩을 입었었고 우리 친구들이랑 다 같이 산행을 했잖아'라고 말을 꺼낼 때 상대방이 '아 맞다. 그랬지?' 하고 기억을 해내면 건망증이고, '그런 적이 있었다고?' 하고 일 자체를 기억해내지 못하면 치매일 확률이 있다고 한다. 또, 치매일 경우에 정보가 뇌에 입력되지 않아서 오래된 일은 비교적 잘 기억해도 최근의 일이나 어제 일은 잘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혹은 일상생활에서 잊었던 이름이 잘 기억나지 않으면 건망증으로 볼 수 있지만, 평소에 내가 잘 하던 요리나 장보기등에서 실수가 반복된다면 치매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고 한다.
집에서 하는 간단한 치매 자가진단법은? 아래 원 안에 "11시 10분을 나타내는 시계 그려보기" (문제)
집에서 하는 치매 자가진단법은 간단하게 위에 원에 "11시 10분"을 그려보면 됩니다. 시계그리기의 해당 답은 아래와 같다. 판단해보는건 숫자를 제대로 썼는지와 시계바늘의 위치 등이라고 합니다.
11시 10분 시계 그리기 정답
티비에서 이런 치매를 예방하는 음식으로 총기청이 소개되었습니다. 총기청 만드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치매예방, 뇌 활성화에 도움을 주는 총기청의 재료는 삽주뿌리 ,구기자뿌리, 오디열매 입니다.
삽주는 국화과의 여래해살이풀인데 주로 뿌리줄기를 약용으로 사용하며 소화불량에도 탁월합니다.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중풍에 좋은 약초로 구토, 감기,식욕부진, 권태소기, 담음, 황달, 관절염, 각기, 소변 곤란, 태기불안의 치료에 삽주가 쓰입니다.
구기자뿌리도 장수와 치매에 도움이 됩니다. 배꼽이하에 있는 하정을 튼튼하게 해주는데 도움을 줍니다. 그리고, 간 기능 개선, 항산화 효과, 항혈당 효과, 항혈압 효과,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피부미용 효과, 알콜 해독 효과, 골다공증 방지, 근력향상 효과, 뇌세포활성화의 효능이 있습니다.
오디는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불면증과 건망증에 효과적이며 안토시아닌 색소와 비타민 E가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및 노화 방지의 효능이 있습니다. 동의보감에서는 오디를 오래 먹으면 늙지 않고 머리가 희어지지 않는다고 기록되어있습니다. 오디에 함유된 물질 중 '가바'가 있는데, 가바는 뇌대사를 촉진해서 치매증상을 완화시킵니다.
총기청 만드는 법: 총기청 만드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총기청 재료: 구기자뿌리100g, 삽주뿌리100g, 오디100g, 설탕이나 꿀 300g(1:1:3비율) ,그리고 총기청을 담을 유리병을 준비합니다.
총기청 만드는 순서: 1. 구기자 뿌리33g,삽주뿌리33g,오디33g(재료의 3분의 1)을 병 안에 골고루 담습니다. 2. 설탕은 100g을 넣습니다. 3. 설탕과 재료들이 섞이도록 살짝 병을 흔들어줍니다. 4. 그 후 1~3번을 반복합니다. 또 다시 구기자 뿌리33g ,삽주뿌리33g,오디33g을 다시 한 번씩 담고 설탕을 100g씩 넣고 흔든다음, 또 다시 계속 층을 쌓기를 총 3번 반복하면 재료가 소진됩니다. (이때, 팁은 구기자뿌리,삽주뿌리,오디 한 가지씩 층층이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골고루 섞여야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4. 완성된 총기청은 일주일 정도 숙성기간이 필요합니다. 숙성시킨 후에는 따뜻한 물에 타서 하루 100ml 씩 섭취하면 좋습니다.
다이어트에 좋은 새싹보리를 활용한 간단한 음식 조리법 4가지 ! (0) | 2020.03.27 |
---|---|
오메가3가 풍부한 음식들은 무엇이 있을까? 오메가3가 꼭 필요한 사람들! (0) | 2020.03.26 |
계피와 궁합이 어울리는 음식들 추천 ! 계피 효능 확인 (0) | 2020.03.25 |
차가버섯 분말 먹는 법 ! 차가버섯 덩어리 차로 간단하게 우려내기! (0) | 2020.03.24 |
세계 10대 슈퍼푸드와 하루 권장 섭취량 (0) | 2020.03.22 |